정부, K뷰티 미래산업 육성안 발표 제조자 표기 삭제 글로벌 경쟁력 제고 피부진단 기반한 개인별 제품도 허가
[아시아경제 조현의 기자] 정부가 K-뷰티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국내 화장품의 제조원(제조업체) 표기 의무 규정 삭제를 추진한다. 해외 기업이 국내 기업을 거치지 않고 직접 제조사와 계약해 유사 제품을 만들면서 수출이 급감한 것을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K-뷰티 미래 화장품산업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이번 방안을 통해 우리나라를 세계 3대 화장품 수출국가로 도약시킨다는 방침이다. 복지부는 이번 대책의 추진 배경에 대해 "최대 수출국인 중국에서 프랑스, 미국 등의 다국적 기업과의 경쟁이 심해지고 중국 현지 기업의 약진이 이어지고 있다"며 "신규시장 발급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우선 중소 브랜드 중심 성장과 혁신 기술 보호를 위해 제조자 표기의무 삭제를 추진한다. 업계는 제조자 표기 의무로 인해 해외 경쟁 업체에 제조자 정보가 공개돼 중소 브랜드 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며 지속적으로 삭제를 요구했다. 아울러 내년 3월부터 개인별 피부 진단을 통해 고객 맞춤형으로 화장품을 제조하는 맞춤형화장품 제도를 세계 최초로 시행한다. 원료 혼합ㆍ소분과 품질관리를 담당하는 조제관리사 제도가 도입되면서 신규 일자리 5000개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 K뷰티 미래산업 육성안 발표
제조자 표기 삭제 글로벌 경쟁력 제고
피부진단 기반한 개인별 제품도 허가
[아시아경제 조현의 기자] 정부가 K-뷰티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국내 화장품의 제조원(제조업체) 표기 의무 규정 삭제를 추진한다. 해외 기업이 국내 기업을 거치지 않고 직접 제조사와 계약해 유사 제품을 만들면서 수출이 급감한 것을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K-뷰티 미래 화장품산업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이번 방안을 통해 우리나라를 세계 3대 화장품 수출국가로 도약시킨다는 방침이다. 복지부는 이번 대책의 추진 배경에 대해 "최대 수출국인 중국에서 프랑스, 미국 등의 다국적 기업과의 경쟁이 심해지고 중국 현지 기업의 약진이 이어지고 있다"며 "신규시장 발급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우선 중소 브랜드 중심 성장과 혁신 기술 보호를 위해 제조자 표기의무 삭제를 추진한다. 업계는 제조자 표기 의무로 인해 해외 경쟁 업체에 제조자 정보가 공개돼 중소 브랜드 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며 지속적으로 삭제를 요구했다. 아울러 내년 3월부터 개인별 피부 진단을 통해 고객 맞춤형으로 화장품을 제조하는 맞춤형화장품 제도를 세계 최초로 시행한다. 원료 혼합ㆍ소분과 품질관리를 담당하는 조제관리사 제도가 도입되면서 신규 일자리 5000개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현의 기자
https://view.asiae.co.kr/article/2019120510302199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