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은 여행용 사이즈 화장품 수요 증가 -
- 휴대 간편하고, 메이크업과 스킨케어 시간을 단축시켜주는 패키징 인기 -
□ 작아진 뷰티 제품 사이즈
ㅇ 뷰티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업체의 마케팅 전략 등의 이유로 소용량의 뷰티 및 퍼스널케어 제품 수요 증가
- 시장조사업체인 유로모니터가 조사한 2012~2017년 미국 뷰티 및 퍼스널케어 제품 용량별 용기 판매량 증감률을 살펴보면0~50ml 용량의 소형 용기 판매량이 5년간 43.9% 늘어 전체 카테고리 가운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임.
- 반면 101~300g, 501~750ml 용량의 용기는 오히려 판매량이 감소했음.
- 지난 2017년 가장 많이 판매된 뷰티 및 퍼스널케어 제품 용기(unit 단위 제외)의 용량은 101~300ml 제품으로 전체 판매량의30% 정도를 차지함.
- 한편 미국 전체 뷰티 및 퍼스널케어 제품 용기 판매량은 2017년 144억7790만 개로 2012년에 비해 1.3% 증가했음.
2012~2017년 미국 뷰티 및 퍼스널케어 제품 용량별 용기 판매량
(단위: 100만 개)
용기 크기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12/'17 증감률 |
0~50g | 38.2 | 38.8 | 39.6 | 40.2 | 40.7 | 41.3 | 8.1% |
0~50ml | 410.5 | 437 | 490.3 | 553.1 | 571.5 | 590.6 | 43.9% |
0~50units | 4,602.90 | 4,640.60 | 4,639.50 | 4,675.40 | 4,644.00 | 4,639.30 | 0.8% |
1001~2000g | 0 | 0 | 0 | 0 | 0 | 0 | 0% |
1001~2000ml | 123.7 | 126.5 | 127.1 | 129.2 | 131.1 | 129.7 | 4.9% |
101~300g | 1,656.30 | 1,587.20 | 1,537.40 | 1,502.70 | 1,474.90 | 1,434.60 | -13.4% |
101~300ml | 4,189.70 | 4,212.80 | 4,220.90 | 4,283.50 | 4,271.30 | 4,292.50 | 2.5% |
2001~4999g | 0 | 0 | 0 | 0 | 0 | 0 | 0% |
2001~4999ml | 3.8 | 3.9 | 3.9 | 4.1 | 4.1 | 4.2 | 10.5% |
301~500g | 3.2 | 3.3 | 3.3 | 3.4 | 3.4 | 3.5 | 9.4% |
301~500ml | 1,417.30 | 1,413.30 | 1,408.90 | 1,429.40 | 1,422.10 | 1,419.40 | 0.1% |
501~750g | 0.3 | 0.3 | 0.3 | 0.3 | 0.3 | 0.3 | 0% |
501~750ml | 397.8 | 395.8 | 396.5 | 397.1 | 394.1 | 387.8 | -2.5% |
51~100g | 469.1 | 474 | 485.3 | 493.5 | 504 | 501.3 | 6.9% |
51~100ml | 939.1 | 953.2 | 959 | 975.2 | 994.2 | 989.9 | 5.4% |
751~1000g | 0.1 | 0.1 | 0.1 | 0.1 | 0.1 | 0.1 | 0% |
751~1000 ml | 40.5 | 39.2 | 38.3 | 41.1 | 41.6 | 42.4 | 4.7% |
합계 | 14,293.50 | 14,326.90 | 14,351.30 | 14,529.00 | 14,498.10 | 14,477.90 | 1.3% |
자료원: 유로모니터
ㅇ 패스트뷰티 트렌드와 업체들의 샘플 마케팅이 소형 용기 수요 증가를 견인
- 뷰티제품도 의류나 액세서리처럼 빠르게 교체하는 성향의 소비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프리미엄 뷰티 브랜드를 중심으로 본품보다 용량이 작은 제품을 좀 더 낮은 가격에 판매함.
- 특히 신제품 출시 속도가 빠르고,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색조화장품들이 적극적으로 미니사이즈를 출시하고 있음.
- 여행객들을 타깃으로 출시된 여행용 사이즈 제품의 경우, 소비자들이 새로운 제품이나 브랜드를 테스트하기 위한 용도로 구입하고 있음.
- 소형 용기의 뷰티 제품은 휴대가 간편해 많은 소비자들이 가정에서 사용하는 대용량 사이즈 제품 외에 트레블 사이즈 제품을 별도로 구입함.
트레블 사이즈 ‘리틀 맥’ 라인을 출시한 색조화장품 전문업체 맥

자료원: debenhamsbeauty 인스타그램
베네피트의 베스트셀러 제품인 하이빔 본품과 여행용 사이즈 제품

자료원: 베네핏트 홈페이지
ㅇ 최근 제조된 화장품을 바로 구입해서 빠르게 소비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요구가 소량 포장된 뷰티 제품의 판매로 이어짐.
- 천연성분을 함유하고, 방부제 사용을 배제해 유통기한이 짧은 내추럴 화장품들이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에 비해 작은 용량으로 출시하는 경향이 있음.
- 내추럴 화장품의 소형 용기 채택은 유통기한 안에 제품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화장품도 식품처럼 위생도와 신선도를 고려하는 소비자들에게 위생적이고 신선한 느낌을 줌.
- Klocke Group의 비즈니스&테크놀로지 부문 부사장인 Jonathan Millen은 코스메틱디자인과의 인터뷰에서 “뷰티 및 퍼스널케어 시장에서 작은 용기에 들어있는 소량의 제품이라도 제품의 질로 승부하는 시대가 되었다”며 “소비자들은 신선하고, 휴대가 간편하며,소비자와 소통하는 제품을 찾는다”고 밝힘.
□ 프리미엄 뷰티 브랜드의 높아진 유리 용기 선호도
ㅇ 유리 용기는 고급스러운 이미지 때문에 많은 프리미엄 포지셔닝을 추구하는 브랜드들이 패키징에 사용하고 있음.
- 프리미엄 브랜드들은 점도가 낮은 모이스처라이저나 세럼, 에센셜 오일 같은 액체 타입의 화장품에 주로 유리 용기를 사용하며, 병의 뚜껑에 스포이드를 부착해 피부에 쉽게 도포할 수 있게 함.
- 특히 클린&웰니스 트렌드로 급부상한 에센셜 오일은 대부분의 브랜드들이 제품이 가지고 있는 자체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 유리병을 사용함.
- 유리 용기는 또 최신 기술을 화장품에 접목한 프리미엄 신생 브랜드들이 좀 더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화장품의 이미지를 돋보이게 하기 위한 전략 중 하나이기도 함.
- 약사가 만든 내추럴 화장품인 ‘Sunday Riley’, 피부과학을 내세운 합리적 가격의 ‘The Ordinary’ 같은 신생 브랜드들인 유리 용기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브랜드 포지셔닝에 활용하고 있음.
ㅇ 뷰티시장에서 헤어케어 및 남성용 그루밍 제품도 유리 용기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품목임.
- 지난 2012~2017년 헤어케어와 남성용 그루밍 제품의 유리 용기 판매량은 5년사이 60% 이상 크게 늘었음
- 남성용 헤어케어 시장에서 니치, 매스티지, 프리미엄, 인디 브랜드를 중심으로 포마드와 크림 타입 제품에 유리 용기를 채택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음.
- 미국 시장에서 자신을 가꾸고 꾸미는 그루밍족이 늘어나면서 헤어케어 및 남성용 그루밍 시장도 확대되고 있는 추세임.
2012~2017 미국 헤어케어·남성용 그루밍·스킨케어 부문 유리 용기 판매량
(단위: 100만 개)
제품 분류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12/17증감률 |
헤어케어 | 28.8 | 30.6 | 37 | 44 | 44.5 | 47 | 63.2% |
남성용 그루밍 | 26.4 | 27.3 | 31.6 | 36.4 | 39.1 | 42.9 | 62.5% |
스킨케어 | 60.5 | 62 | 62.3 | 64.1 | 67.1 | 62.7 | 3.6% |
자료원: 유로모니터
□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스틱형 패키징 활용 확대
ㅇ 주로 데오드란트에 사용됐던 플라스틱 스틱형 패키징의 활용이 더욱 광범위해짐.
- 스틱형 패키징은 휴대가 간편하고, 손에 내용물을 묻히거나 별도의 도구 없이도 피부에 도포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음
- 스틱형 패키징을 채택한 제품은 선케어, 색조화장품, 스킨케어, 보디케어 등 여러 카테고리의 다양한 상품군에서 찾아볼 수 있음
ㅇ 프리미엄 브랜드뿐 아니라 중저가의 매스 브랜드까지 앞다투어 선케어 시장에 스틱형 선케어 신제품을 선보는 추세
- 스틱형 제품은 어린이뿐 아니라, 간편하고 빠르게 선블럭을 바르기 원하는 성인들까지 타깃으로 아우름
- 선스틱은 현대인의 바쁜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똑똑한 패키징으로 인정받고 있음.
ㅇ 스틱형 제품은 색조화장품 시장에서도 화장 시간을 단축시켜주고, 휴대가 간편하다는 점 때문에 점점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음.
- 하이라이터/일루미네이터, 파운데이션/컨실러, 아이섀도우 제품의 경우 매스 브랜드와 프리미엄 브랜드 모두 스틱형 패키징을 채택함.
- 가수 리한나가 2017년 론칭한 프리미엄 뷰티 브랜드 ‘Fenty beauty by Rihanna’의 세포라 베스트셀링 제품에도 스틱형 하이라이터/일루미네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식물성 성분을 활용한 화장품 브랜드인 ‘Milk’는 색조부터 스킨케어 제품 대부분을 스틱형 패키징으로 출시했음.
스틱형 패키징을 채택한 뷰티제품들
Clinique Targeted Protection Stick | Neutrogena Pure & Free baby Sunscreen | Bobby Brown Long Wear Shadow Stick | Milk Match Cleanser | Tarte Twinkle Stick Highlighter |
 | | | |  |
자료원 : 각 사 홈페이지 및 세포라
□ 시사점
ㅇ 낱개 포장 및 소용량 제품의 인기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됨.
- 많은 소비자들이 화장품도 식품처럼 제조일자와 유통기한, 제조성분 등을 꼼꼼하게 확인하는 소비 습관의 변화에 따라 바로 뜯어 쓰고 버리는 일회용 제품(예: 시트마스크팩, 1회용 앰플 등), 빠르게 쓰고 새 제품으로 교체할 수 있는 소형 패키징의 수요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B2B 뷰티 플랫폼 회사인 The Lynden의 데니 박 대표는 "소형 패키징 화장품의 수요가 높아지면서 바이어들도 트레블 사이즈 제품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특히 계산대 옆에 진열해두고 소비자들이 줄을 서서 기다릴 때 바로 집어갈 수 있는 제품을 많이 찾는다"고 설명함. 또 "하지만 소형 패키징 자체가 제조 단가가 높은 편이라 중소형 K-뷰티 브랜드들이 비용 문제에 부담을 느끼기도 한다"고 덧붙임.
- 뷰티 소비자의 주요 고객층이 여성의 활발한 사회진출로 가방에 가볍게 휴대할 수 있는 여행용 사이즈 뷰티 제품 선호도 상승
-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셀피 문화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면서 바로 바로 변신할 수 있는 색조화장품의 교체 주기도 빨라짐에 따라 적은 용량의 색조화장품의 인기는 앞으로도 꾸준할 것으로 보임.
ㅇ 미국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분석을 통한 패키징 개발의 필요성
- 바쁜 일상 속에서 빠르고 간단하게 스킨케어와 메이크업을 할 수 있는 제품이 주목받고 있음.
- 반짝이는 아이디어의 제품 패키징은 스킨케어와 메이크업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어, 내용 못지 않게 소비자들의 구매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함.
- 대표적인 시간 절약형 화장품 패키징으로는 쿠션 파운데이션 및 선블럭과 스틱형 색조화장품 및 선블럭 등이 있음.
ㅇ 적절한 화장품 용기의 채택 및 패키지 디자인은 브랜드의 시장 내 포지셔닝과 브랜드 이미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 용기의 형태 및 소재가 가지고 있는 기능과 이미지가 이미지를 브랜드의 이미지와 부합하는지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함.
- 혁신적인 화장품 패키징은 프리미엄 혹은 더마톨로지 화장품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
자료원 : 유로모니터, 코스메틱 디자인, 뷰티패키징 및 KOTRA 뉴욕 무역관 보유자료
- 작은 여행용 사이즈 화장품 수요 증가 -
- 휴대 간편하고, 메이크업과 스킨케어 시간을 단축시켜주는 패키징 인기 -
□ 작아진 뷰티 제품 사이즈
ㅇ 뷰티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업체의 마케팅 전략 등의 이유로 소용량의 뷰티 및 퍼스널케어 제품 수요 증가
- 시장조사업체인 유로모니터가 조사한 2012~2017년 미국 뷰티 및 퍼스널케어 제품 용량별 용기 판매량 증감률을 살펴보면0~50ml 용량의 소형 용기 판매량이 5년간 43.9% 늘어 전체 카테고리 가운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임.
- 반면 101~300g, 501~750ml 용량의 용기는 오히려 판매량이 감소했음.
- 지난 2017년 가장 많이 판매된 뷰티 및 퍼스널케어 제품 용기(unit 단위 제외)의 용량은 101~300ml 제품으로 전체 판매량의30% 정도를 차지함.
- 한편 미국 전체 뷰티 및 퍼스널케어 제품 용기 판매량은 2017년 144억7790만 개로 2012년에 비해 1.3% 증가했음.
2012~2017년 미국 뷰티 및 퍼스널케어 제품 용량별 용기 판매량
(단위: 100만 개)
용기 크기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12/'17
증감률
0~50g
38.2
38.8
39.6
40.2
40.7
41.3
8.1%
0~50ml
410.5
437
490.3
553.1
571.5
590.6
43.9%
0~50units
4,602.90
4,640.60
4,639.50
4,675.40
4,644.00
4,639.30
0.8%
1001~2000g
0
0
0
0
0
0
0%
1001~2000ml
123.7
126.5
127.1
129.2
131.1
129.7
4.9%
101~300g
1,656.30
1,587.20
1,537.40
1,502.70
1,474.90
1,434.60
-13.4%
101~300ml
4,189.70
4,212.80
4,220.90
4,283.50
4,271.30
4,292.50
2.5%
2001~4999g
0
0
0
0
0
0
0%
2001~4999ml
3.8
3.9
3.9
4.1
4.1
4.2
10.5%
301~500g
3.2
3.3
3.3
3.4
3.4
3.5
9.4%
301~500ml
1,417.30
1,413.30
1,408.90
1,429.40
1,422.10
1,419.40
0.1%
501~750g
0.3
0.3
0.3
0.3
0.3
0.3
0%
501~750ml
397.8
395.8
396.5
397.1
394.1
387.8
-2.5%
51~100g
469.1
474
485.3
493.5
504
501.3
6.9%
51~100ml
939.1
953.2
959
975.2
994.2
989.9
5.4%
751~1000g
0.1
0.1
0.1
0.1
0.1
0.1
0%
751~1000 ml
40.5
39.2
38.3
41.1
41.6
42.4
4.7%
합계
14,293.50
14,326.90
14,351.30
14,529.00
14,498.10
14,477.90
1.3%
자료원: 유로모니터
ㅇ 패스트뷰티 트렌드와 업체들의 샘플 마케팅이 소형 용기 수요 증가를 견인
- 뷰티제품도 의류나 액세서리처럼 빠르게 교체하는 성향의 소비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프리미엄 뷰티 브랜드를 중심으로 본품보다 용량이 작은 제품을 좀 더 낮은 가격에 판매함.
- 특히 신제품 출시 속도가 빠르고,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색조화장품들이 적극적으로 미니사이즈를 출시하고 있음.
- 여행객들을 타깃으로 출시된 여행용 사이즈 제품의 경우, 소비자들이 새로운 제품이나 브랜드를 테스트하기 위한 용도로 구입하고 있음.
- 소형 용기의 뷰티 제품은 휴대가 간편해 많은 소비자들이 가정에서 사용하는 대용량 사이즈 제품 외에 트레블 사이즈 제품을 별도로 구입함.
트레블 사이즈 ‘리틀 맥’ 라인을 출시한 색조화장품 전문업체 맥
자료원: debenhamsbeauty 인스타그램
베네피트의 베스트셀러 제품인 하이빔 본품과 여행용 사이즈 제품
자료원: 베네핏트 홈페이지
ㅇ 최근 제조된 화장품을 바로 구입해서 빠르게 소비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요구가 소량 포장된 뷰티 제품의 판매로 이어짐.
- 천연성분을 함유하고, 방부제 사용을 배제해 유통기한이 짧은 내추럴 화장품들이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에 비해 작은 용량으로 출시하는 경향이 있음.
- 내추럴 화장품의 소형 용기 채택은 유통기한 안에 제품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화장품도 식품처럼 위생도와 신선도를 고려하는 소비자들에게 위생적이고 신선한 느낌을 줌.
- Klocke Group의 비즈니스&테크놀로지 부문 부사장인 Jonathan Millen은 코스메틱디자인과의 인터뷰에서 “뷰티 및 퍼스널케어 시장에서 작은 용기에 들어있는 소량의 제품이라도 제품의 질로 승부하는 시대가 되었다”며 “소비자들은 신선하고, 휴대가 간편하며,소비자와 소통하는 제품을 찾는다”고 밝힘.
□ 프리미엄 뷰티 브랜드의 높아진 유리 용기 선호도
ㅇ 유리 용기는 고급스러운 이미지 때문에 많은 프리미엄 포지셔닝을 추구하는 브랜드들이 패키징에 사용하고 있음.
- 프리미엄 브랜드들은 점도가 낮은 모이스처라이저나 세럼, 에센셜 오일 같은 액체 타입의 화장품에 주로 유리 용기를 사용하며, 병의 뚜껑에 스포이드를 부착해 피부에 쉽게 도포할 수 있게 함.
- 특히 클린&웰니스 트렌드로 급부상한 에센셜 오일은 대부분의 브랜드들이 제품이 가지고 있는 자체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 유리병을 사용함.
- 유리 용기는 또 최신 기술을 화장품에 접목한 프리미엄 신생 브랜드들이 좀 더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화장품의 이미지를 돋보이게 하기 위한 전략 중 하나이기도 함.
- 약사가 만든 내추럴 화장품인 ‘Sunday Riley’, 피부과학을 내세운 합리적 가격의 ‘The Ordinary’ 같은 신생 브랜드들인 유리 용기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브랜드 포지셔닝에 활용하고 있음.
ㅇ 뷰티시장에서 헤어케어 및 남성용 그루밍 제품도 유리 용기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품목임.
- 지난 2012~2017년 헤어케어와 남성용 그루밍 제품의 유리 용기 판매량은 5년사이 60% 이상 크게 늘었음
- 남성용 헤어케어 시장에서 니치, 매스티지, 프리미엄, 인디 브랜드를 중심으로 포마드와 크림 타입 제품에 유리 용기를 채택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음.
- 미국 시장에서 자신을 가꾸고 꾸미는 그루밍족이 늘어나면서 헤어케어 및 남성용 그루밍 시장도 확대되고 있는 추세임.
2012~2017 미국 헤어케어·남성용 그루밍·스킨케어 부문 유리 용기 판매량
(단위: 100만 개)
제품 분류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12/17증감률
헤어케어
28.8
30.6
37
44
44.5
47
63.2%
남성용 그루밍
26.4
27.3
31.6
36.4
39.1
42.9
62.5%
스킨케어
60.5
62
62.3
64.1
67.1
62.7
3.6%
자료원: 유로모니터
□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스틱형 패키징 활용 확대
ㅇ 주로 데오드란트에 사용됐던 플라스틱 스틱형 패키징의 활용이 더욱 광범위해짐.
- 스틱형 패키징은 휴대가 간편하고, 손에 내용물을 묻히거나 별도의 도구 없이도 피부에 도포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음
- 스틱형 패키징을 채택한 제품은 선케어, 색조화장품, 스킨케어, 보디케어 등 여러 카테고리의 다양한 상품군에서 찾아볼 수 있음
ㅇ 프리미엄 브랜드뿐 아니라 중저가의 매스 브랜드까지 앞다투어 선케어 시장에 스틱형 선케어 신제품을 선보는 추세
- 스틱형 제품은 어린이뿐 아니라, 간편하고 빠르게 선블럭을 바르기 원하는 성인들까지 타깃으로 아우름
- 선스틱은 현대인의 바쁜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똑똑한 패키징으로 인정받고 있음.
ㅇ 스틱형 제품은 색조화장품 시장에서도 화장 시간을 단축시켜주고, 휴대가 간편하다는 점 때문에 점점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음.
- 하이라이터/일루미네이터, 파운데이션/컨실러, 아이섀도우 제품의 경우 매스 브랜드와 프리미엄 브랜드 모두 스틱형 패키징을 채택함.
- 가수 리한나가 2017년 론칭한 프리미엄 뷰티 브랜드 ‘Fenty beauty by Rihanna’의 세포라 베스트셀링 제품에도 스틱형 하이라이터/일루미네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식물성 성분을 활용한 화장품 브랜드인 ‘Milk’는 색조부터 스킨케어 제품 대부분을 스틱형 패키징으로 출시했음.
스틱형 패키징을 채택한 뷰티제품들
Clinique
Targeted Protection Stick
Neutrogena
Pure & Free baby Sunscreen
Bobby Brown
Long Wear Shadow Stick
Milk
Match Cleanser
Tarte
Twinkle Stick Highlighter
자료원 : 각 사 홈페이지 및 세포라
□ 시사점
ㅇ 낱개 포장 및 소용량 제품의 인기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됨.
- 많은 소비자들이 화장품도 식품처럼 제조일자와 유통기한, 제조성분 등을 꼼꼼하게 확인하는 소비 습관의 변화에 따라 바로 뜯어 쓰고 버리는 일회용 제품(예: 시트마스크팩, 1회용 앰플 등), 빠르게 쓰고 새 제품으로 교체할 수 있는 소형 패키징의 수요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B2B 뷰티 플랫폼 회사인 The Lynden의 데니 박 대표는 "소형 패키징 화장품의 수요가 높아지면서 바이어들도 트레블 사이즈 제품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특히 계산대 옆에 진열해두고 소비자들이 줄을 서서 기다릴 때 바로 집어갈 수 있는 제품을 많이 찾는다"고 설명함. 또 "하지만 소형 패키징 자체가 제조 단가가 높은 편이라 중소형 K-뷰티 브랜드들이 비용 문제에 부담을 느끼기도 한다"고 덧붙임.
- 뷰티 소비자의 주요 고객층이 여성의 활발한 사회진출로 가방에 가볍게 휴대할 수 있는 여행용 사이즈 뷰티 제품 선호도 상승
-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셀피 문화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면서 바로 바로 변신할 수 있는 색조화장품의 교체 주기도 빨라짐에 따라 적은 용량의 색조화장품의 인기는 앞으로도 꾸준할 것으로 보임.
ㅇ 미국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분석을 통한 패키징 개발의 필요성
- 바쁜 일상 속에서 빠르고 간단하게 스킨케어와 메이크업을 할 수 있는 제품이 주목받고 있음.
- 반짝이는 아이디어의 제품 패키징은 스킨케어와 메이크업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어, 내용 못지 않게 소비자들의 구매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함.
- 대표적인 시간 절약형 화장품 패키징으로는 쿠션 파운데이션 및 선블럭과 스틱형 색조화장품 및 선블럭 등이 있음.
ㅇ 적절한 화장품 용기의 채택 및 패키지 디자인은 브랜드의 시장 내 포지셔닝과 브랜드 이미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 용기의 형태 및 소재가 가지고 있는 기능과 이미지가 이미지를 브랜드의 이미지와 부합하는지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함.
- 혁신적인 화장품 패키징은 프리미엄 혹은 더마톨로지 화장품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
자료원 : 유로모니터, 코스메틱 디자인, 뷰티패키징 및 KOTRA 뉴욕 무역관 보유자료